TimesCore
Science | Standing on the Global Stage: Why Olympic Athletes Should Speak Up 동영상 강좌
  • 기사
  • 해석

Standing on the Global Stage: Why Olympic Athletes Should Speak Up

Mexico City, 1968. A couple of days after winning gold and bronze medals in the 200-m sprint, Olympic athletes Tommie Smith and John Carlos were suspended by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and their athletic careers were over. Their crime? Making a gesture of protest against the racial inequalities in the U.S. at the time.

“No kind of demonstration or political, religious, or racial propaganda is permitted in the Olympic areas,” the Olympic Charter states. In an event meant to unite people under the love of sports, standing for a cause during the Olympics can be a divisive action. However, some causes are important, even if they spark disagreements and distract people from the main values of the Olympic Games.

Athletes should be able to decide whether they want to use their influence to speak to the world. These athletes are more than just people who are really good at sports. They have complex identities, interests, and causes they believe in. And while Olympic athletes are expected to sacrifice a lot to represent the very best of their country, some nations do not treat their athletes or their people well.

This was true for Smith and Carlos, and it was also true for Australian boxer Damien Hooper, who wore an Aboriginal flag at the 2012 London Games. If the Olympics’ purpose is to build a peaceful and better world, they should allow athletes to speak up about things that can actually make it better. Otherwise, the Games will be the true distraction.



Esther Lee
For The Teen Times
(ttt@timescore.co.kr)

1968년 멕시코 시티 200미터 육상 경기에서 금메달을 딴 지 며칠 후, 토미 스미스와 존 카를로스는 국제 올림픽위원회로부터 정직을 당했고, 그들의 선수 생활은 끝났다. 과연 그들의 죄는 무엇이었는가? 그 시절 일어나고 있던 미국의 인종차별에 대해 저항하는 행위를 보였기 때문이다. 올림픽 헌장은 “올림픽과 관련된 지역에는 어떠한 종류의 시위나 정치적, 종교적 또는 인종적인 선전을 금지하고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스포츠에 대한 열정 아래 세계를 통합시키기 위한 경기에서, 올림픽 기간에 하나의 대의를 위해 궐기하는 것은 분열을 일으키는 행동일 수 있다. 하지만, 그것들이 아무리 논쟁을 일으키거나 올림픽의 주요 가치가 아닌 것들로 관중의 시선을 산만하게 하여도 몇몇 대의들은 중요하다. 선수들은 그런 문제들을 세상에 널리 알리기 위해 그들이 그들의 영향력을 사용하고 싶은지 아닌지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선수들은 스포츠만 잘하는 인물들 그 이상이다. 그들은 정교한 정체성과 관심사, 그리고 그들이 믿고 있는 대의를 가지고 있다. 또 한편 올림픽 국가대표들은 그들의 나라의 최고 중의 최고를 대표하기 위해 수많은 희생을 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몇몇 국가들은 그들의 운동선수 자신이나 국민들을 잘 대우하지 않는다. 스미스와 카를로스의 경우도 그랬듯이, 2012년 런던올림픽에서 호주 원주민 국기를 착용한 데미언 후퍼의 경우도 같은 경우였다. 만일 올림픽의 목표가 진정 평화롭고 더 좋은 세상을 위한 것이라면, 그들은 실제로 세상을 더 좋게 만들 수 있는 것들에 대해 소신 있게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올림픽이야말로 진정한 오락거리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