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sCore
Science | Gloves Read Sign Language 동영상 강좌
  • 기사
  • 해석

Gloves Read Sign Language

“Our purpose for developing these gloves was to provide an easy-to-use bridge between native speakers of American Sign Language and the rest of the world, and accessing to communication is a fundamental human right,” said Navid Azodi and Thomas Pryor. The two students who go to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UW) won $10,000 at Lemelson-MIT student Prize. These two students first met in the dormitory in their freshman year. They became intimate and found out they shared a lot in common, including invention and problem solving. Since they always desired to reduce the communication gap between people who are having hearing problems and those who are not. They spent time together to invent upgraded “Signaloud” gloves. The previously released translate gloves are huge and heavy. According to UW Today “Our gloves are lightweight, compact and worn on the hands, but ergonomic enough to use as an everyday accessory, similar to hearing aids or contact lenses,” said Thomas.

The sensors attached to the gloves read hand gestures or movements, and send the date to a computer via Bluetooth. Then, the computer examines the data, translate it into words, and is played through an equipment.

This technology will be also helpful in the medical field like observing paralyzed patients during rehabilitation. Some are in suspense for advancement in scientific technology, however, this kind of technology which advocates human rights and gives chances to the poor should be promoted.




Hannah Lee
Staff Reporter
(hannah8141@timescore.co.kr)

“이 장갑을 개발한 우리의 목적은 미국 수화자 원어민과 세계 나머지 사람들 사이의 손쉽게 사용하는 가교를 제공하기 위해서 이고, 대화에 접근하는 것은 본질적인 인권입니다” 라고 Navid Azodi and Thomas Pryor는 말했다. Washington 대학에 다닌 이 두 학생은 리멜슨-MIT상에서 1만 달러를 수상했다. 이 두 학생은 대학교 1학년때 기숙사에서 처음 만났다. 청력문제를 가지고 있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사이의 의사소통 간격을 줄이기를, 항상 원했기 때문에 그들은 친해졌고 발명과 문제해결을 포함하여, 많은 공통점을 나눴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들은 더 나은 Signaloud 장갑을 발명하는데 시간을 함께 보냈다. 기존에 나와있는 통역 장갑들은 크고 무겁다. UW Today에 따르면, “우리 장갑은 가볍고 소형이며 손에 착용할 수 있지만, 보청기와 컨텍트 렌즈 같은 매일의 액세서리처럼 매일 사용하기에도 충분히 인체공학적입니다” 라고 Thomas는 말했다. 장갑에 부착된 센서는 손동작이나 움직임을 읽고, 블루투스를 통해 컴퓨터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 후, 컴퓨터는 그 데이터를 조사하고, 단어로 번역하고, 장비를 통해서 들려준다. 이 기술은 재활 기간 동안 마비된 환자들을 돌보는 것과 같은 의학 분야에서도 도움이 될 것이다. 몇몇은 과학기술의 발전에 마음을 졸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인권을 지키고, 불쌍한 사람들에게 기회를 주는 종류의 기술은 고취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