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sCore
Debate | The Internet should be censored 동영상 강좌
  • 기사
  • 해석

The Internet should be censored

Introduction
The Internet is an important medium through which people can express themselves and share ideas. It offers a wealth of information, resources, and entertainment. Some say that the Internet should be censored to avoid spreading harmful content. Others say that the Internet should remain a free space where people can post and access whatever information they want. Today, our debaters will discuss whether the Internet should be censored. Let’s see what Henry and Ashley have to say.



Henry (Constructive)
The Internet should be censored. Censorship needs to be implemented so that people cannot access bad content. People often go online to search for answers to their questions. Without censorship, they are likely to encounter false or inaccurate information. Also, people can use the Internet to spread violent or hateful ideas. Finally, we need censorship so that kids are not exposed to harmful content, such as graphic photos of violence or war. The Internet is safer when it is censored.



Ashley (Constructive)
The Internet should not be censored. The Internet was made to be a free space where anyone could express her or his ideas. Censoring the Internet goes against the freedom of expression. Why should the government be able to decide which ideas are suitable or not for the public? People should be able to access and post the content that they want online. We should be individually responsible for our use of the Internet. It must remain free and uncensored!



Henry (Rebuttal)
It is true that the Internet was made to be a free space. However, we now know the consequences of this. People spread dangerous and false information online. We also know that it is increasingly difficult to find reliable online sources and that many kids access harmful content. Now that we have seen the problems, it would be irresponsible to turn a blind eye. If we do not censor the Internet, then all of those problems will get much worse.



Ashley (Rebuttal)
First of all, it is impossible for the government to get rid of all bad content on the Internet. As soon as it censors one website, another one will pop up. That is inevitable because there are more than 3 billion Internet users in the world! People can also encounter bad content in conversations, newspapers, books, and on TV. Are we going to censor those as well? The government should not control what people see and say.




Judge’s Comments
The winner of today’s debate is Ashley. Henry committed the logical fallacy called slippery slope. Debaters commit this fallacy when they argue that one thing will lead to another without any sufficient evidence. Henry listed a number of consequences of having a free Internet. He claimed that if we do not censor the Internet, then all those consequences will be much worse. However, he did not provide evidence that this would be the case.



Karen Lee
For The Teen Times
(ttt@timescore.co.kr)

서론 인터넷은 사람들이 자신을 표현하고 생각을 공유할 수 있게 해 주는 중요한 매체이다. 그것은 수많은 정보, 자료, 그리고 즐거움을 제공한다. 어떤 사람들은 해로운 내용을 피하도록 인터넷이 검열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다른 사람들은 인터넷이 사람들이 원하는 모든 정보를 올리고 얻을 수 있는 자유로운 공간으로 남아야 한다고 말한다. 오늘, 우리의 토론자들은 인터넷이 검열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토론할 것이다. Henry와 Ashley가 어떤 할 말이 있는지 보자. Henry (주장) 인터넷을 검열해야 한다. 사람들이 나쁜 내용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검열을 도입해야 한다. 사람들은 종종 궁금한 것에 대한 답을 찾아보기 위해 인터넷을 한다. 검열이 없으면, 그들은 잘못되거나 부정확한 정보와 맞닥뜨릴 수 있다. 또한, 사람들은 폭력적이거나 혐오스러운 생각을 퍼뜨리기 위해 인터넷을 사용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아이들이 폭력이나 전쟁 사진과 같은 해로운 내용에 노출되지 않게 하기 위해 검열이 필요하다. 인터넷은 검열될 때 더 안전하다. Ashley (주장) 인터넷을 검열하면 안 된다. 인터넷은 누구나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자유로운 공간이 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인터넷을 검열하는 것은 표현의 자유에 위배된다. 왜 정부가 대중을 위해 어떤 생각이 적합하고 말고를 결정할 수 있어야 하나? 사람들은 원하는 내용을 온라인에서 얻고 온라인으로 게시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는 각자의 인터넷 사용에 대한 각자의 책임이 있어야 한다. 그것은 자유롭고 검열 없이 유지되어야 한다! Henry (반박) 인터넷이 자유로운 공간이 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이제 우리는 그 결과를 알고 있다. 사람들은 위험하고 잘못된 정보를 온라인에서 퍼뜨리고 있다. 우리는 또한 신뢰할 만한 온라인 자료를 찾는 것이 점점 어렵다는 것과 많은 아이들이 해로운 내용을 얻는다는 것 또한 알고 있다. 우리가 이러한 문제를 보았기 때문에, 모르는 척 하는 것은 무책임한 것이다. 만약 우리가 인터넷을 검열하지 않는다면, 이 모든 문제는 훨씬 더 악화될 것이다. Ashley (반박) 우선, 정부가 인터넷의 모든 나쁜 내용을 없애는 것은 불가능하다. 정부가 한 사이트를 검열하자마자, 다른 사이트가 생겨날 것이다. 세상에 30억 명이 넘는 인터넷 사용자들이 있기 때문에 그것은 피할 수 없다. 사람들은 또한 대화하거나, 신문, 책, 그리고 텔레비전에서 나쁜 내용과 맞닥뜨릴 수도 있다. 그것들 역시 우리가 검열할 것인가? 정부는 사람들이 보고 말하는 것을 통제해서는 안 된다. 심사위원 평가 오늘 토론의 승자는 Ashley이다. Henry는 가파른 비탈길이라는 논리 오류를 범했다. 토론자들이 어떤 것이 다른 것을 유발한다고 충분한 증거 없이 주장할 때 이 오류를 범하게 된다. Henry는 자유로운 인터넷 사용의 많은 결과들을 나열했다. 그는 우리가 인터넷을 검열하지 않으면, 그 모든 결과가 훨씬 더 악화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그는 이것이 사실이라는 증거를 제공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