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sCore
Debate | Co-education improves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동영상 강좌
  • 기사
  • 해석

Co-education improves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Introduction
In Korea, there are mixed-gender and single-gender schools. Single-gender schools educate just one gender at an institution. Mixed-gender schools educate both genders at the same institution. In the past, most middle and high schools were single-gender schools. However, now most schools embrace co-education. Today our debate is on whether co-education improves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Let’s see what our debaters think.

Henry (Constructive)
Co-education improves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Boys and girls have many different ideas to share with each other. Co-education improves academic performance because students are exposed to a more diverse set of ideas. Students learn best from people who are different from them. Also, mixed-gender classes create a better learning environment. For example, studies show that girls are generally calmer than boys in the classroom. Therefore, the presence of female peers helps create a more focused learning environment.

Ashley (Constructive)
Co-education does not improve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Boys’ and girls’ brains are biologically different and work in very different ways. For example, studies show that girls are more often visual or auditory learners, while boys are more likely to be kinesthetic learners, who learn by doing. Therefore, it makes natural sense to put students in single-gender schools so that teachers can adapt their teaching styles according to the specific needs of their students. Also, students feel shyer about sharing their ideas in mixed-gender classrooms.

Henry (Rebuttal)
There is also research that claims that the learning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have been exaggerated. Therefore, co-education works well because boys and girls actually learn in similar ways. Boys and girls do have their differences, but I claim that these differences improve academic performance. The differences help create a more creative, interesting, and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Finally, students must learn to share their ideas in mixed-gender settings because their future co-workers will most likely be both female and male.

Ashley (Rebuttal)
Students may be able to learn different things in mixed-gender schools. However, they can concentrate better and receive better attention from their teachers in single-gender schools. The focus of today’s debate is academic performance. Although co-education has its positive characteristics, students learn better and get higher test scores in single-gender schools. Furthermore, you pointed out that girls are generally calmer than boys. So, surely a classroom full of girls is better than a mixed-gender classroom.

Judge’s Comments
Today’s winner is Henry. Ashley committed the debate fallacy called “appeal to nature.” Debaters commit this fallacy when they make claims arguing about what is “natural” to support their side. For example, Ashley claimed that boys’ and girls’ brains are biologically different. Therefore, she said, it only makes natural sense to separate girls and boys into different learning institutions. The fact that there is a natural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does not mean that it makes sense to separate them in school.

Karen Lee
For The Teen Times
(ttt@timescore.co.kr)

서론 한국에서, 남녀공학 학교와 단일 성별 학교가 있다. 단일 성별 학교에서는 오직 한 성별만을 교육한다. 남녀공학 학교에서는 같은 시설 내에서 양쪽 성별을 모두 교육한다. 과거에는, 대부분의 중고등학교가 단일 성별 학교였다. 하지만, 이제 대부분의 학교는 남녀공학을 받아들인다. 오늘 우리의 토론은 남녀공학이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높이는지에 대한 것이다. 우리의 토론자들이 무엇을 생각하는지 보자. Henry (주장) 남녀공학은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높인다. 남자와 여자는 서로와 공유할 많은 다양한 생각들을 가지고 있다. 남녀공학은 학생들이 더 다양한 아이디어에 노출되기 때문에 학업 성취도를 높인다. 학생들은 자신과 다른 사람들로부터 가장 잘 배운다. 또한, 남녀공학 반은 더욱 나은 학습 환경을 만든다. 예를 들어, 연구는 교실에서 여자들이 일반적으로 남자보다 더 차분하다는 것을 보여 준다. 그러므로, 여자 동료가 존재하는 것이 더욱 집중된 학습 환경을 만드는 것을 돕는다. Ashley (주장) 남녀공학은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높이지 않는다. 남자와 여자의 뇌는 생물학적으로 다르고 아주 다른 방법으로 작동한다. 예를 들어, 연구는 여자들이 더 자주 시각 또는 청각적 학습자이고, 반면에 남자들은 하면서 배우는 운동감각적인 학습자일 것 같다는 것을 보여 준다. 그러므로, 학생들을 단일 성별 학교에 두어서 선생님들이 학생들의 구체적인 요구에 따라 수업 방식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또한, 학생들은 남녀공학 반에서 자신들의 생각을 나누는 것을 더 부끄럽게 느낀다. Henry (반박) 남자와 여자의 학습 차이가 과장되어 왔다고 주장하는 연구도 있다. 따라서, 남녀공학은 남자와 여자들이 실제로 비슷한 방법으로 배우기 때문에 효과가 있다. 남자와 여자는 차이가 있지만, 나는 이러한 차이가 학업 성취도를 높인다고 주장한다. 차이는 더욱 창의적이고, 재미있고, 공동의 학습 환경을 만드는 것을 돕는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미래의 직장 동료들은 여자와 남자가 함께 있을 것이기 때문에,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을 남녀공학 학교에서 나누는 법을 반드시 배워야 한다. Ashley (반박) 학생들은 남녀공학 학교에서 다양한 것을 배울 수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들은 단일 성별 학교에서 더 잘 집중할 수 있고 선생님들의 관심을 더 받을 수 있다. 오늘 토론의 주제는 학업 성취도이다. 비록 남녀공학이 긍정적인 특성도 가지고 있지만, 학생들은 단일 성별 학교에서 더 잘 배우고 더 높은 시험 점수를 받는다. 게다가, 너는 여자들이 일반적으로 남자보다 더 차분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따라서, 당연히 여자로 가득 찬 교실이 남녀공학반보다 낫다. 심사위원 평가 오늘의 승자는 Henry이다. Ashley는 “자연스러움에 호소”하는 토론 오류를 범했다. 토론자들이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할 때 “자연스러운” 것을 말하며 주장하면 이 오류를 범하게 된다. 예를 들어, Ashley는 남자와 여자의 뇌는 생물학적으로 다르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그녀는 여자와 남자를 다른 학습 기관으로 분리하는 것이 오직 당연하다고 말했다. 남자와 여자 사이에 자연스러운 차이가 있다는 사실이 그들을 학교에서 분리하는 게 말이 된다는 의미는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