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sCore
Debate | 16 year olds should be given the right to vote 동영상 강좌
  • 기사
  • 해석

16 year olds should be given the right to vote

Introduction
People aged 19 and older are eligible to vote in Korea. A country’s legal voting age means the age that citizens can begin voting for political leaders that will make crucial decisions for their nation. The country deems that at this age its citizens are mature and responsible enough to participate in the political process. Some say that the legal voting age should be lowered to 16. Let’s see what Henry and Ashley think about this topic.

Henry (Constructive)
Sixteen-year-old Koreans should be given the right to vote. Many 16 year olds have shown that they are capable of doing amazing things. For example, Kim Yuna was already winning international skating competitions at the age of 16. Yu Kwan-Sun began fighting for Korea’s independence from Japan at the young age of 16. Finally, the richest teenager in the world is Nick D’Aloisio, who created Summly, an app that made him a multimillionaire when he was just 16 years old.

Ashley (Constructive)
Sixteen-year-old Koreans should not be given the right to vote. Responsible voting requires maturity that 16 year olds simply do not have. Voters must understand that their votes help shape the direction of their nation. Sixteen year olds cannot grasp the importance of this responsibility. They should focus on their studies, rather than involve themselves in political issues. When they turn 19, they will be mature enough to make these important voting decisions.

Henry (Rebuttal)
Some 16 year olds have accomplished more in their short lives than many older adults! There may be other 16 year olds who do not have the maturity to vote. But there are also many older adults who do not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voting. We should let 16 year olds vote and also educate them about the responsibility of voting. Educated citizens wh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voting should definitely be given the right to vote!

Ashley (Rebuttal)
You have mentioned some extraordinary 16 year olds who have accomplished great things at a very young age. However, not all 16 year olds are like them. The majority of this age group still has a lot to learn in order to assume the responsibility of voting. I think it is a great idea to begin educating 16-year-old Koreans on the importance and responsibility of voting. That way, when they turn 19, they will be well-educated on how to vote responsibly.

Judge’s Comments
The winner of today’s debate is Ashley. Henry listed the accomplishments of some extraordinary 16-year-old Koreans to show that they are responsible enough to vote. However, he listed anomalies, meaning that he listed people that are outside of the norm. In order to prove that 16 year olds are mature enough to vote, Henry should have demonstrated that the average 16 year old has the mental maturity to vote. Listing extraordinary examples does not help his case.

Karen Lee
For The Teen Times
(ttt@timescore.co.kr)

서론 한국에서 19세 이상의 사람들은 투표를 할 자격이 있다. 한 국가의 법적인 투표 나이는 시민들이 자신의 국가를 위해 중대한 결정을 할 정치적 지도자를 위해 투표할 수 있는 나이를 의미한다. 그 나라는 법적 투표 나이가 된 시민들이 정치 과정에 참여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성숙하고 책임감이 있다고 여긴다. 어떤 사람들은 법적 투표 나이가 16세로 낮춰져야 한다고 말한다. Henry와 Ashley가 이 주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보자. Henry (주장) 16세 한국 청소년들에게 투표권을 주어야 한다. 많은 16세들은 자신들이 놀라운 일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왔다. 예를 들어, 김연아는 16세에 이미 국제 스케이팅 경쟁에서 이기고 있었다. 유관순은 16세에 일본으로부터의 한국 독립을 위한 투쟁을 시작했다. 마지막으로, 세상에서 가장 부유한 청소년은 그가 16세에 만든 Summly라는 스마트폰 앱으로 엄청난 부자가 된 Nick D’Aloisio이다. Ashley (주장) 16세 한국 청소년들에게 투표권을 주면 안 된다. 책임감 있는 투표는 16세에게는 없는 성숙함을 필요로 한다. 유권자들은 자신들의 표가 국가의 방향 형성을 돕는다는 것을 반드시 이해해야 한다. 16세 청소년들은 이러한 책임의 중요성을 이해할 수 없다. 그들은 정치적 안건에 참여하기보다는 학업에 집중해야 한다. 그들이 19세가 되면, 그들은 중요한 투표 결정을 할 만큼 충분히 성숙할 것이다. Henry (반박) 어떤 16세 청소년들은 그들의 짧은 삶에서 나이가 더 많은 어른들보다도 많은 것을 이루었다! 투표할 만큼 성숙하지 않은 다른 16세 청소년들이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투표의 중요성을 이해하지 못하는 나이 많은 어른들도 많다. 우리는 16세 청소년들이 투표를 하게 해야 하고 또 그들에게 투표의 책임을 교육해야 한다. 투표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교육받은 시민들에게는 반드시 투표권이 주어져야 한다! Ashley (반박) 당신은 어린 나이에 엄청난 것들을 이룬 몇몇 대단한 16세 청소년들을 언급했다. 하지만, 모든 16세 아이들이 그들과 같지는 않다. 이 나이 집단의 대다수는 투표의 책임을 맡기 위해 아직 배울 것이 많다. 나는 16세 한국 청소년들에게 투표의 중요성과 책임을 교육하기 시작하는 것이 아주 좋은 아이디어라고 생각한다. 그렇게 하면, 그들이 19세가 되었을 때, 책임감 있게 투표하는 방법에 대해 잘 교육되어 있을 것이다. 심사위원 평가 오늘 토론의 승자는 Ashley이다. Henry는 몇몇 대단한 16세 한국 청소년들이 투표하기에 충분히 책임감이 있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그들의 업적을 나열했다. 하지만, 그는 이례적인 것들을 나열했는데, 그것은 일반에서 벗어난 사람들을 나열했다는 것을 말한다. 16세 청소년들이 투표할 만큼 충분히 성숙하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Henry는 평균의 16세 청소년들이 투표할 만큼 정신적으로 성숙하다는 것을 설명했어야 한다. 보기 드문 사례를 나열하는 것은 그의 사례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