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많은 가정에서 강아지와 고양이를 애완 동물로 데리고 있다. 불행히도, 길거리에서 사는 강아지와 고양이 역시 많이 있다. 집 없는 강아지와 고양이가 너무 많고, 그들을 돌보려는 사람은 충분하지 않다. 어떤 사람들은 개체 과잉을 방지하기 위해 모든 강아지와 고양이가 중성화 수술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다른 사람들은 모든 강아지와 고양이에게 중성화 수술을 실시하는 것은 자연스럽지 않다고 생각한다. 오늘 우리의 토론자들은 모든 강아지와 고양이들이 중성화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토론할 것이다. 그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보자. Henry (주장) 모든 강아지와 고양이들이 중성화 수술을 받아야 한다. 집 없는 강아지와 고양이는 살아남기 위해서 쓰레기를 먹으며 길거리를 돌아다닌다. 이 불쌍한 동물들은 질병에 걸리거나 사고를 당하기 매우 쉽다. 만약 우리가 그들을 모두 중성화한다면, 우리는 그들의 개체 수를 조절할 수 있고 그렇게 해서 집 없는 동물들이 길거리에 더 이상 없을 것이다. 게다가, 연구는 중성화 수술에 건강과 행동에 관련된 이로움이 많다는 것을 보여 준다. 예를 들어, 중성화된 강아지들은 특정한 질병에 걸릴 가능성이 낮아진다. Ashley (주장) 모든 강아지와 고양이에게 중성화 수술을 시켜서는 안 된다. 그것은 자연스럽지 않다. 동물들은 자연스럽게 번식을 하도록 만들어진다. 만약 우리가 그들 모두에게 중성화 수술을 시킨다면, 강아지들은 결국 멸종될 것이다. 책임감 있는 주인 의식이 강아지와 고양이의 개체 수 과잉을 통제하는 열쇠이다. 주인들은 원치 않는 새끼들이 생기지 않도록 확실히 하기 위해 자신의 강아지와 고양이를 돌보아야 한다. 또한 그들은 버려지거나 길 잃은 동물들이 없도록 자신의 애완동물에 대한 책임감이 필요하다. Henry (반박) 책임감 있는 주인 의식은 강아지와 고양이의 개체 수 과잉을 조절하는 중요한 한 부분이다. 하지만 강아지와 고양이를 중성화하는 것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최선책이다. 전문 사육자들이 중성화되지 않은 강아지와 고양이를 기를 수 있다. 그들은 애완동물에 대한 사람의 수요를 기초로 해서 번식을 조절할 수 있다. 그렇게 해서, 강아지와 고양이들은 멸종하지 않을 것이고 우리는 집 없는 동물들에 대한 문제를 쥐고 있지 않게 될 것이다. 모든 다른 강아지들과 고양이들은 중성화되어야 한다. Ashley (반박) 저 불쌍한 강아지들과 고양이들을 생각해 봐라! 동물들은 유전적으로 번식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들이 새끼 강아지와 고양이를 낳는 것을 우리가 예방하는 것은 잔인한 일이다. 개체 수 과잉을 막기 위한 다른 방법들이 있다. 우리는 강아지와 고양이를 중성화시키는 것을 고려하기 전에 모든 다른 선택 사항을 보아야 한다. 왜 강아지와 고양이가 번식을 하는 것을 결정할 권리를 사람이 가져야 하나? 우리가 모든 강아지와 고양이에게 이렇게 하는 것은 비인간적이고 불공평하다. 심사위원 평가 Henry가 오늘 토론의 승자이다. Ashley는 동정심에 호소한다는 뜻인 argumentum ad misericordiam이라는 토론 오류를 범했다. 토론자들이 상대의 감정에 호소하려 할 때 이 오류를 범하게 된다. 그들은 자신의 입장에 대해 상대가 죄책감이나 동정심을 느끼게 만들도록 노력한다. Ashley의 반박은 그녀 상대의 감정에 호소하는 데 집중한다. 그녀는 잔인하다, 비인간적이다, 그리고 불공평하다 등의 단어를 사용한다. 하지만, 아무리 특별한 호소가 많아도 견고한 주장을 대체할 수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