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한국 초등, 중학교에서 여자 선생님의 수가 크게 증가해 왔다. 2001년에, 여자 선생님은 초등학교에서 68%, 중학교에서 59%, 그리고 고등학교에서 35%를 차지했다. 하지만 2011년에, 이 비율은 각각 75.8%, 66.8%, 그리고 46.2%로 치솟았다. 오늘 토론에서, 헨리와 애슐리는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증가하고 있는 교사의 성비 불균형이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토론할 것이다. 헨리 (주장) 교사의 성비 불균형은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준다. 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최선의 지원을 하기 위해 남자 여자 선생님의 균형을 맞춰야 한다. 선생님들은 학생들을 가르쳐야 할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멘토가 되어야 한다. 이것은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위해 중요하다. 가끔 남학생들은 성장하며 겪는 어려움을 도와줄 수 있는 남자 멘토를 찾는다. 대부분의 선생님이 여자라면, 남학생들은 남자 멘토를 찾기 어려울 것이다. 애슐리 (주장) 교사의 성비 불균형은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학생의 학업 성취도는 교사의 성별에 영향받지 않는다. 그것은 선생님의 교육 능력 수준에 영향을 받는다. 교육 대학교에서 여자 졸업생들의 졸업시험 점수가 더 높고, 그래서 여자 졸업생들이 교사 자리에 더 많이 임명된다. 이것은 여자 선생님들이 남자보다 더 자격이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나는 학교에 여자 선생님들이 훨씬 더 많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헨리 (반박) 대학교 시험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는 여자 선생님들이 많다. 하지만, 나는 선생님들의 대학교 졸업시험 점수만이 교육 능력의 유일한 지표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좋은 선생님들은 학생들을 감정적으로 도와주고, 훈육을 통제하고, 반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 또한 알고 있다. 학교에서 교사의 성비 균형은 남자와 여자 선생님들이 함께 일해서 학생들을 최고로 도와주는 것을 보장할 것이다. 가끔 남자 선생님들이 훈육을 통제하는 것을 더 잘 한다. 애슐리 (반박) 효과적인 멘토링은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선생님들이 멘토가 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나는 학생들이 자신들과 같은 성별의 선생님이 반드시 멘토가 되어야 한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나는 여자 선생님들이 보통 더 섬세하고 이해심이 많기 때문에 더 나은 멘토라고 생각한다. 학교에서는 성별과 관계없이 일자리에 가장 자격이 있는 선생님을 고용해야 한다. 자격이 있는 여자 선생님들이 점점 더 많아지기 때문에 교사의 성비 불균형이 생기는 것이다. 심사위원 평가 오늘 토론의 승자는 헨리이다. 애슐리는 거짓 원인이라는 논리적 오류를 범했다. 토론자가 중요한 증거 없이 어떤 것이 다른 것의 원인이 된다고 주장할 때 이 오류를 범하게 된다. 애슐리는 여자 선생님들이 대학교 시험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는다고 했고, 그래서 여자 선생님들이 더 자격이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하지만, 헨리는 선생님의 시험 점수만이 교육 능력의 지표가 될 수는 없다고 반박했다. 애슐리는 대학교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얻는 것이 더 자격이 있는 선생님을 의미한다는 내용으로 나를 설득시키지 않았다.